대한민국은 노동자 없는 연구소

일이 재밌고 힘들지 않고 그 안에서 시너지가 나오고 신용이 쌓여서

한 3년 지나면 이 사람은 간부가 됩니다.

돈에 노예가 되느냐, 내 일을 즐기면서 성장하느냐는 내 자신이 스스로 만드는 것입니다.

직장은 사회 학교입니다.

사회 학교에 들어갔으면 현장의 일 속에서 일거리를 직접 접해 가면서 실전 공부를 하고

실력을 갖추며 성장을 해야 되는 곳이 직장입니다.

직장에서 실력을 배양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준 것을 사회에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

직장에 가서 우리가 충분히 공부할 동안에 실력을 갖추고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야 합니다.

사회는 일꾼이 필요한 게 아니고 연구원들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– [정법강의] 3589강 이 시대는 일꾼이 아니라 연구원이 필요하다

[정법강의] 840강 컵원리, 돈의 노예 중에서 –

 

 

 

 

 

컵을 만드는 직장에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공장에 컵을 만들러 두 사람이 일을 가는데,

한 시림은 먹고살기 위해 돈 벌러 가고, 다른 한 사람은 컵을 쓸 사람을 위해서 일을 갑니다.

이렇게 같은 일을 해도 다르게 사는 두 사람의 질량은 하늘과 땅 차이가 납니다.

돈 벌러 가는 사람은 10년이 지나도 돈 버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,

컵을 쓸 사람을 위해서 일을 가는 사람은

일이 재밌고 힘들지 않고 그 안에서 시너지가 나오고 신용이 쌓여서

한 3년 지나면 이 사람은 간부가 됩니다.

돈에 노예가 되느냐, 내 일을 즐기면서 성장하느냐는 내 자신이 스스로 만드는 것입니다.

직장은 사회 학교입니다.

사회 학교에 들어갔으면 현장의 일 속에서 일거리를 직접 접해 가면서 실전 공부를 하고

실력을 갖추며 성장을 해야 되는 곳이 직장입니다.

직장에서 실력을 배양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준 것을 사회에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

직장에 가서 우리가 충분히 공부할 동안에 실력을 갖추고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야 합니다.

사회는 일꾼이 필요한 게 아니고 연구원들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– [정법강의] 3589강 이 시대는 일꾼이 아니라 연구원이 필요하다

[정법강의] 840강 컵원리, 돈의 노예 중에서 –

 

 

 

 

 

회사에 들어가니까 회사에서 하는 짓이  뭔가 노예 부리듯이 하고

월급 줬다고 이렇게 저렇게 좌우지하고 우리를 이끄는 게 잘못된 것을 느끼게 됩니다.

그래서 한 3년 되면 아무리 좋은 회사에 좋은 조건으로 가서도 나가고 싶은 생각이 들게 됩니다.

직장에 가는 이유가 먹고살기 위해 일한다고 하니까 노동을 시키고 돈 주는 것을 대가를 받는

다는 생각이 노동자가 되는 것입니다.

컵을 만드는 직장에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공장에 컵을 만들러 두 사람이 일을 가는데,

한 시림은 먹고살기 위해 돈 벌러 가고, 다른 한 사람은 컵을 쓸 사람을 위해서 일을 갑니다.

이렇게 같은 일을 해도 다르게 사는 두 사람의 질량은 하늘과 땅 차이가 납니다.

돈 벌러 가는 사람은 10년이 지나도 돈 버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,

컵을 쓸 사람을 위해서 일을 가는 사람은

일이 재밌고 힘들지 않고 그 안에서 시너지가 나오고 신용이 쌓여서

한 3년 지나면 이 사람은 간부가 됩니다.

돈에 노예가 되느냐, 내 일을 즐기면서 성장하느냐는 내 자신이 스스로 만드는 것입니다.

직장은 사회 학교입니다.

사회 학교에 들어갔으면 현장의 일 속에서 일거리를 직접 접해 가면서 실전 공부를 하고

실력을 갖추며 성장을 해야 되는 곳이 직장입니다.

직장에서 실력을 배양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준 것을 사회에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

직장에 가서 우리가 충분히 공부할 동안에 실력을 갖추고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야 합니다.

사회는 일꾼이 필요한 게 아니고 연구원들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– [정법강의] 3589강 이 시대는 일꾼이 아니라 연구원이 필요하다

[정법강의] 840강 컵원리, 돈의 노예 중에서 –